[재무비율] 재고자산 회전율과 평균보유 (재고) 기간
재고자산 회전율이란
만약 기업이 과도한 재고자산을 보유하고 있다면 그것은 다른 곳에 투자할 수 있는 자금이
재고자산에 묶여 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재고자산계정을 이용한 비율로는
1.재고자산 회전율과
2.평균보유 (재고) 기간이 있다.
매출원가
(매출원가 대신 매출액을 사용하기도 하나 이럴 경우 평균보유기간이 잘못 계산되기 때문에 적절한 방법은 아님)
를 평균재고자산가액 으로 나누어 산출
평균보유기간은 365일을 재고자산 회전율로 나누어 산출한다.
재고자산회절율은 당기 중 재고자산이 몇번 판매 되었는지를 나타내며
평균보유기간은 재고자산 전체를 한번 매출하는데 걸리는 일수를 나타낸다.
재고자산의 과잉투자는 다른 영업활동에 사용할 수 있는 현금을 묶어둘 뿐으로 자금압박의 주범이 될 수 있음
반면 산업평균보다 빠른 재고자산회전율은 매출 증대 원인일수도 있으나
재고보유수준을 과소하게 운영에서 적지재고시스템 의 운영에서 비롯된 것일수도 있다.
따라서 적절한 원인분석을 통한 올바른 해석이 필요함
적시재고시스템이란? _ 필요한 원재로와 부품 및 제품을
적시에 적량 조달하여 생산함 재고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시스템
재고자산 회전율 하락의 의미
재고자산 회전율의 하락은 재고자산이 쌓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럴경우 기업은 어떤 특정 재고자산 품목이 잘 판매되지 않는지 ,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파악하는게 중요하다.
재고자산 가운데 진부화된 재고자산이 있을지도 모른다.
신제품을 도입한 경우
이에 대한 광고효과가 아직 파급되지 않아 재고자산회전율이 하락한 것이라면 하락은 문제가 되지 않느다.
다시 한번 이야기 하자면
재고자산 회전율이 일시적으로 하락했다면 그 원인을 파악하는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수 있다.
정상영업주기 란?
매출채권의 평균회수기간과 재고자산의 평균보유기간을 합산
하여 기업의 정상영업주기 를 산출할수 있다.
정상영업주기란?
재고자산을 매입해서 판매한 후 현금으로 회수되기까지의 기간을 의미한다.